˜˚♡♡종♡합♡♡˚˜/˜˚♡공연♡전시♡˚˜

[스크랩] 남한산성의 공연, 전시, 교육, 체험 행사를 한눈에!

소통 화합 2012. 6. 2. 20:38

오는 5월 남한산성행궁 정식 개방을 앞두고 경기문화재단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단장: 전종덕)이 2012년 연간 문화행사 일정을 공개한다.

남한산성에는 연간 300만명 이상의 탐방객들이 찾아와 성곽과 문화재, 자연경관을 즐기고 있어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더욱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여 남한산성을 고품격 문화명소로 만들고 UNESCO 세계유산 추진지역으로서의 홍보를 추진한다는 것이 사업단의 계획이다.

▶ 전통이 살아 숨쉬는 주말상설공연

남한산성행궁에서는 주말상설공연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먼저, 풍류음악 토요상설공연으로 ‘악공청(樂工廳) 음악회’가 펼쳐진다. 실제로 조선시대
남한산성행궁 앞에는 악공청(樂工廳)이 자리잡고 있어 악사들이 행궁 또는 관아에서 제례(祭禮), 연향(宴饗), 임금의 행차, 과거 급제자의 문희연(聞喜宴) 등을 주관하였다.
고귀한 풍류의 향연으로 선보일 악공청 음악회는 인조 4년(1626) 건립된 이후 약 300여년간 유지되어 20세기초에 파괴되고 2012년 새롭게 태어나는 남한산성행궁 낙성(落成)을 기념하여 조선왕조의 전통과 위엄을 상징하던 궁중음악과 선비들의 풍류음악, 현대 젊은 예술가의 흥취가 담긴 퓨전국악을 선사한다.

매주 일요일에는 광주시립광지원농악단과 함께하는 전통연희공연이 펼쳐진다.
광지원농악은 조선시대 남한산성에 행궁이 생기면서 재인청 소속 재인들이 5군영에 해당하는 수어청에 투입되면서 남한산성 끝자락의 마을인 광지원리에 자리 잡게 되었고, 마을의 두레패들과 함께 농악을 치며 점차 체계적이고 화려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광지원농악은 매주 일요일 신명나는 우리의 농악으로 행궁 앞 전통공원에서 만날볼 수 있다.

근엄한 수어청 군사들의 무예의식, 전통무예 18기 시연 역시 매주 일요일 남한산성행궁 한남루 앞에서 선보인다.
전통무예 시범 공연을 통해 남한산성이 한반도의 중심인 한강에 위치한 천혜의 요새이자 고대로부터 우리 민족의 무혼(武魂)을 불태운 곳 그리고 수어청 주둔지라는 사실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 남한산성을 주제로한 다양한 기획전시

남한산성의 옛 풍경과 역사의 기억을 되짚어보는 역사사진전도 열린다. 역사사진전에는 남한산성의 고지도, 옛사진, 관련 인물의 초상화, 신문기사 등 남한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재정립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등을 선보인다.

또한 행궁 앞 전통공원 돌담에서 펼쳐질 ‘돌담아트프로젝트’에서는 남한산성을 주제로 한 한뫼골미술인회의 ‘남한산성 도해도(圖解圖)-길과 사람’ 회화전, 문화재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는 아마추어 시민작가전의 산성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 ‘산성시선(山城視線)’ 사진전이 열린다.

그리고 조선시대 남한산성에 머물렀던 여러 관리(官吏)와 문인들이 남긴 고시조(古時調) 및 현대인들의 창작시조가 어우러지는 ’산성, 시조를 걷다‘ 문학전이 행궁 개방 이후 일년 내내 펼쳐진다.

▶ 야간개방 문화행사와 독서 공간 운영

올해 처음으로 진행될 행궁 야간개방 문화행사인 ‘한 여름밤의 행궁’은 무더운 여름밤, 시원한 남한산성행궁에서 야간해설프로그램 ‘행궁 길라잡이’와 이색적인 문화예술공연을 통해 남한산성 문화유산의 가치와 궁궐에서의 예술적 즐거움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또한 외행전 남행각에 남한산성 관련 소설, 시 등의 문학작품과 어린이들을 위한 역사도서, 남한산성 관련 연구 보고서 및 사업단 발간자료 등을 비치하여 남한산성행궁을 찾은 관람객을 대상으로 독서 기회를 제공하는 ‘책 읽는 행궁’ 행사도 열린다.

봄의 야생화와 가을의 단풍 등 행궁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남한산성이 전달하는 지혜의 숲, 지식의 샘을 만나볼 수 있다.

▶ 어린이, 가족체험 등 다양한 체험교육 진행

문화재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는 남한산성은 2012년 주5일제 학교운영과 행궁개방을 통해 본격적으로 주말 체험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4월 7일부터 시작되는 ‘남한산성 토요 전통문화학교’는 평소에 개방되지 않는 숭렬전과 현절사에서 초등학생 4~6학년들을 대상으로 7주간 체계적인 예절교육을, 가족을 대상으로 전통문화체험을 진행한다.

그리고 생생(生生) 문화재사업 ‘행행중행복(行幸中行福)한 남한산성’은 병자호란으로 인해 치욕의 역사로만 알려졌던 이미지를 임금들의 능행을 통해 민중들에게 베풀었던 혜택과 행사 등으로 행복한 발걸음이었다는 내용을 주제로 한다.

주요사업으로는 오는 5월에 문을 여는 남한산성행궁을 중심으로 연극공연인 ‘왕들의 수다’, 가족과 함께하는 연극체험교육 ‘임금님, 납시오’와 성곽무예체험 ‘성곽을 지켜라!’, 국악공연과 문학체험을 함께하는 ‘행궁에서 만나는 가족 풍류여행-풍류일가(風流一家)’, 아차산성, 대전산성과 함께하는 산성연계답사 ‘뚜르 드 산성’, 어린이과거체험 ‘과거시험 보러오시오!’ 등이 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아카데미 7기’는 아차산성, 수원화성, 북한산성, 문수산성 등 전문강사진의 현장답사를 통해 남한산성과의 비교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신청과 자세한 내용은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홈페이지(www.ggnhss.or.kr)를 통해 할 수 있다.
(교육문의 : 031-777-7527)

[문화가 흐르는 남한산성행궁 2012 연간 행사 일정]

구분

행사명

기간 / 일시

장소

내용

공연

악공청 음악회

05.26~6.30, 08.25~11.10 /

오후 1시~2시(상반기)

정오 12시~1시(하반기)

남한산성행궁 외행전

풍류음악 등 국악공연

난장트다

03.25~11.11 매주 일요일 /

오후 1시~2시

남문주차장 무대(~5.20)

행궁 앞 전통공원(~11.11)

광지원농악

수어청 연무의식

05.27~07.08, 08.26~10.28 /

매주 일요일 오후 2시~3시

남한산성행 한남루 앞

무예18기공연

전시

산성의 풍경 역사의 기억Ⅱ

05.24~10.31 /

오전 10시~오후 5시

남한산성행궁

역사사진전

남한산성 도해도(圖解圖)

05.24~06.24 /

오전 10시~오후 5시

남한산성행궁 앞

전통공원 돌담

한뫼골미술인회 회화전

산성시선(山城視線)

08.25~09.28 /

오전 10시~오후 5시

남한산성행궁 앞

전통공원 돌담

시민작가 사진전

시조, 산성을 걷다

10.06~11.04 /

오전 10시~오후 5시

남한산성행궁 앞

전통공원 돌담

고시조와 현대시조 문학전

복합

한 여름밤의 행궁

08.25 /

오후 8시

남한산성행궁 외행전

야간개방 해설프로그램 및 문화행사

독서

책 읽는 행궁

05.24~연중 /

오전 10시~오후 5시

남한산성행궁 외행전 남행각

독서공간 운영

교육

남한산성

토요 전통문화학교

04.07~07.07, 08.04~11.10 /

오전 9시 30분~12시 30분

숭렬전 등

전통예절교육

임금님, 납시오

06.10~6.24, 07.01~7.22 /

매주 일, 오전 10시~11시 30분

09.01~10.27 /

매주 토, 오후 2시 30분~4시

남한산성행궁

연극체험교육

(정조 능행)

성곽을 지켜라

08.26~10.28 /

오전 11시 30분~12시 30분

서문 위 특설무대

성곽무예체험

뚜르드 산성

4.28, 5.12~13, 10.20~21, 10.27 /

오전 9시~오후 6시

남한산성, 대전산성, 아차산성

산성연계 체험프로그램

과거시험 보러오시오

10.03(수) /

오전 10시~오후 4시

남한산성행궁

문과, 무과 과거시험 등

가족풍류여행

풍류일가(風流一家)

10.07,14 /

오후 1시~오후 3시

남한산성행궁

전통음악과 시조를 통한 체험

역사아카데미

7기 - 04.19~5.17

8기 - 09.13~10.11

매주 목요일 5주과정

7기 - 북한산성, 아차산성 등

8기 - 남한산성행궁

남한산성 비교답사 및 역사강좌

※ 행사의 일정과 장소는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여신청과 자세한 내용은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홈페이지(www.ggnhss.or.kr)를 통해 할 수 있다.
(교육문의 : 031-777-7527)


출처 : 경기문화재단 문화나루

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 금지
출처 : 조용한의 소박한 여행사진첩
글쓴이 : 유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