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
사진가는 사진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편집하며 사진을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한다.
사진가는 사진 찍는 대상이나 목적에 따라 인상사진가, 생태사진가, 광고사진가, 순수사진가, 보도사진가(사진기자), 라이브러리 사진작가 등으로 나뉜다. 사진은 그 쓰임새에 따라 실용사진과 창작사진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실용사진으로는 기념사진, 증명사진, 자료사진, 광고사진, 보도사진 등이 있으며 창작사진으로는 다큐멘타리사진과 순수사진 등이 있다.
분야에 따라 촬영 대상이나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사진가는 촬영을 하기 전에 대상물의 특징과 거리, 구도를
결정한 후에 그에 따라 카메라의 각도, 조명, 초점, 노출 정도를 결정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 인상사진가는 인물의 인상을 위주로 사진을 촬영한다. 주로 스튜디오에서 웨딩촬영이나 아기 사진, 개인
프로필 사진 등을 전문적으로 한다.
- 생태사진가는 자연환경 속에 있는 동물, 식물, 곤충 등을 전문으로 촬영한다. 이들은 원하는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여러 장소를 돌아다니거나 원하는 장면의 한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촬영장비를 착용한 채로 장시간 한 장소에서 기다리기도 한다.
- 광고사진가는 상품, 기계, 건물을 대상으로 광고, 홍보, 편람도해 등에 사용되는 사진과 기타 상업용 사진을 전문으로 촬영한다.
- 순수사진가는 예술적인 면을 강조하여 사진 자체와 자기표현만을 목적으로 사진 촬영을 한다. 이들은 주로 작품 활동과 사진 전시회를 통해 활동하는 사진가이다.
- 보도사진가는 보통 사진기자로 더 많이 불리며 취재기자와 함께 팀을 이루어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신문, 잡지 및 유사 간행물 등에 게재하기 위하여 기사에 적합한 인물과 사건현장을 촬영하거나 운동경기와 같은 특정 뉴스를 전문적으로 촬영한다.
- 이밖에 라이브러리 사진작가라고 해서 주로 자신이 찍은 사진을 대여 또는 판매하기 위하여 작품활동을 하는 사진가도 있다. 이들은 가족, 여행, 라이프스토리, 풍경, 스포츠 사진 등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사진을 찍어 이들을 대신하여 사진을 대여 또는 판매해주는 라이브러리 업체에 제공한다.
사진가 중에는 사진과 관련된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순수사진가의 경우 학교나 학원에서 강의
활동을 많이 하는 편이다. 이밖에 사진관이나 스튜디오, 현상소를 직접 운영하면서 사진 현상이나 인화, 편집 등의 일을 함께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포토샵 등을 이용해 사진 내용을 수정·보정(리터칭)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며 인터넷 전자상거
래를 위한 상품사진 촬영 및 이를 웹상에 올리기 위해 웹디자인 등의 능력도 요구하기도 한다.
스튜디오 등에서 촬영 보조 업무를 통해 실력을 배양하여 개인적인 창업을 하는 경우도 많다.
근무환경
사진가는 주로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자신이 직접 스튜디오나 사진관 등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근무시간에 제약이 없는 편이다. 또 신문사, 잡지사, 광고사 등에 고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촬영스케줄에 따라 출퇴근 시간이 다소 유동적인 편이다.
촬영 일정에 따라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결혼식, 회갑연, 돌잔치 같은 행사로 외근을 나가기도 한다. 특히 보도사진가나 생태사진가, 광고사진가, 라이브러리 사진작가 등은 장기간 동안 지방이나 해외출장을 가기도 하며 야간촬영 업무도 잦은 편이다.
보도사진가의 경우 사건이 생긴 사고현장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아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기도 하며, 생태사진가나 순수사진가의 경우 원하는 장면을 포착하기 위해 장시간 촬영장비를 착용한 채로 움직이지 않고 한 장소에서 기다리기도 한다. 촬영 시 무거운 사진기기들을 직접 가지고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체력적 소모가 많다.
되는 길
교육 및 훈련
교육기관으로는 예술고등학교와 대학의 사진관련 학과와 사진가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사설 사진학원, 그리고 사진 강좌를 개설하는 문화센터, 사회교육원 등이 있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 진학하면 사진학개론, 사진기기론, 디지털사진론 등의 이론적 교육과 사진촬영과 관련된 각종 실기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사설학원에서는 광고, 패션, 인상 등 전문 분야의 사진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사진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은 없지만, 점차 이와 같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관련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특히 신문사나 잡지사, 광고사, 일반기업체의 홍보부서 등에서는 전공의 제한은 없어도 대졸자 또는 전문대졸 이상으로 학력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각종 사진콘테스트에 입상 경험이 있으면 사진가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취업 시에도 매우 유리하다. 또한 디지털카메라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컴퓨터를 이용한 사진편집기술을 갖추어 놓으면 작업하는데 편리하다. 이밖
에 사진가 중에서는 사진관이나 스튜디오를 직접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마케팅, 경영, 영업, 회계 등에 관한 지식을 쌓아 놓는 것도 필요하다.
관련 학과
예술고등학교를 비롯해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사진학과, 사진영상학과, 사진예술학과 등이 있다. 사진관련 학과는 서울의 한강미디어고등학교(사진영상과), 안양의 안양예고(사진과) 등 고등학교에도 있다.
관련 자격 및 면허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사진기능사가 있다. 시험은 사진일반, 사진재료 및 현상, 사진기계 및 촬영에 관한 필기시험과 촬영 및 현상작업인 실기시험으로 이루어진다.
입직 및 진출분야
사진가는 스튜디오, 사진관, 현상소, 신문사, 잡지사, 영화사, 광고업체, 웨딩업체, 이벤트업체 등에서 활동하거나 프리랜서로 일할 수 있다. 보통 신문사, 잡지사, 기업홍보실 등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공채 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특히 사진기자의 경우 보통 일반 교양상식, 논술, 영어 등의 필기시험과 현장실습의 실기시험을 치르게 된다.
승진 및 경력개발
스튜디오나 사진관에 취업하면 보통 스태프, 문하생, 인턴사원 등으로 실무를 익히게 된다. 사진기자의 경우도 3~6개월간의 수습기자 생활을 거치게 된다. 보통 일정 이상의 경험을 쌓고 전문 분야를 개척하여 프리랜서로 활동하거나 스튜디오나 사진관을 개업하는 경우가 많다.
적성 및 흥미
사진을 찍고 보는 것을 좋아해야 하며 예술적 감각과 풍부한 상상력, 창의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카메라 조작 뿐만 아니라 필름현상, 편집, 인화에 이르기까지 기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기계에 대한 흥미도 필요하다. 또한 카메라 장비를 가지고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며 사람을 상대하는 일이 많으므로 대인관계가 원만한 사람에게 적합하다.
직업전망
향후 5년간 사진가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사진시장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웨딩, 아기사진, 프로필이미지 등과 같은 인상사진 분야이다.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와 결혼 감소 등으로 일감이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사진관 간의 과다경쟁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 디지털 카메라가 보편화되면서 일반인도 쉽게 사진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뢰해 사진을 촬영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장기적인 경기침체로 기업에서 광고비와 홍보비를 삭감하여 광고사진 분야에서도 사진촬영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의 『전국사업체기초통계조사』에 따르면‘인물사진촬영업과 광고, 의료, 홍보의 상업용사진 촬영업’등 사진촬영업의 사업체 수는 2000년 10,084개소, 2004년 8,834개소, 2006년 8,025개소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일반인의 사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진전시가 증가하고 사진도 미술품처럼 수집의 대상이 되면서 사진 전문 화랑이 등장하는 등 순수사진작가의 활동은 다소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보편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를 알리는 순수사진가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작품을 위임받아 고객에게 판매하거나 대여해주는 라이브러리 회사가 증가하면서 라이브러리 사진작가의 활동도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정보화 사회에서는 예술로서의 사진 뿐 아니라 기록으로서 사진의 역할이 매우 커지고 있다. 게다가 사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진가를 지망하는 사람들도 꾸준히 늘어나는 점은 사진가의 일자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진기자의 경우 신문의 역할이 감소하면서 신문분야의 사진기자는 감소할 것으로, 방송이나 잡지 사진기자의
경우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홍보실을 비롯하여 사진의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면서 일반기업에서의 일자리도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가는 근무환경이나 보수가 열악한 편이어서 이·전직이 심한 편이다. 따라서 관련 대학이나 사설학원 등을 통해 많은 인력이 배출되고는 있지만 취업 경쟁이 그리 치열한 상황은 아니다. 다만 사진기자의 경우 신문사나 잡지사 등에서 매년 한 자리 수 이내의 소수 인원들만을 채용하기 때문에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관련 정보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02)760-4500 www.arko.or.kr
(사)한국사진작가협회
☎(02) 744-8062 www.pask.net
(사)대한프로사진가협회
☎(02)454-5602 www.kppa.co.kr
한국미성사진가협회
☎(02)573-4857 www.kowpa.or.kr
'˜˚♡♡종♡합♡♡˚˜ > ˜˚♡취♡업♡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이 답이다" 속에서 찾은 실천의 의미♡˚˜ (0) | 2011.10.09 |
---|---|
˜˚♡[직업정보]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 (0) | 2011.10.09 |
˜˚♡[직업정보] 경영 및 진단 전문가♡˚˜ (0) | 2011.10.09 |
˜˚♡잡영 플라자 취업 컨설팅♡˚˜ (0) | 2011.10.09 |
˜˚♡지역 항공사 에어부산의 모든것♡˚˜ (0) | 2011.10.09 |